노트들
창 37:3 | 채색옷은 소매 달린 옷 또는 밑단이 복사뼈까지 내려 오는 긴 옷을 의미해요. 그 당시 옷은 사회적인 서열을 나타내는 표지였어요. 그러니까 야곱은 요셉의 서열을 다른 형제들보다 위에 두었던 거예요.
창 37:9 | 옛날 사람들에게 꿈은 곧 앞날을 의미했어요. 야곱이 요셉의 꿈을 간직한 이유는 그거예요. 그 일이 분명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어요.
창 37:27-28 | 여기에는 두 이야기가 합쳐져 있어요. 27절은 이스마엘 사람들이라고 하는데, 28절은 미디안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또한 27절은 형들이 요셉을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팔았다고 말하는데, 28절은 미디안 상인들이 형들 몰래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 올렸다고 말하고 있어요.
창 38 | 하나의 독립된 이야기가 요셉 이야기의 흐름을 끊고 있어요.
창 38:30 | 마태복음에 등장하는 예수님의 족보를 기억하시나요? 자신의 권리를 되찾고자 용기를 낸 다말의 행동은 다윗 왕조의 계보와 메시야의 계보에서 빼놓고 생각할 수 없는 부분이에요.
창 39:3 | 본문은 요셉의 성공이 하나님의 도우심 덕택이라는 것을 장황하게 되풀이하면서 말하고 있어요. 이것이 암시하는 바는 요셉의 애굽행이 하나님의 계획 안에 있다는 거예요.
창 40:7 | 꿈을 꾼 두 사람의 표정에 근심이 있었던 것은 감옥에서는 애굽의 해몽가들 중에 한 사람에게도 물어볼 수 없었기 때문이에요. 그 당시의 꿈 해몽은 학문의 영역 안에 있었던 매우 중요한 일이었어요.
창 41:1-7 | 왕의 꿈은 백성 모두에게 중요한 일이었어요. 그러나 그 누구도 만족할 만한 해석을 해 주지 못했어요.
창 41:45-46 | 앞서 말씀 드렸듯이 오늘의 본문은 개방적인 솔로몬 시대에 쓰였기 때문에, 요셉이 태양신을 섬기는 제사장의 사위가 된 것에 대해서 언짢아 하지 않아요.
창 41:51-52 | 아이들의 이름을 살펴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어요. 요셉은 자신의 출신을 결코 잊지 않았어요.
창 42:5-13 | 요셉은 자신이 꾸었던 꿈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봐요. 요셉은 형들을 호되게 시험하는데 이는 참된 화해를 위해 형들의 마음이 달라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에요.
창 42:18-20 |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은 낯선 외국인의 기본적인 인권도 인정한다는 거예요.
창 42:21-24 | 형들은 자신이 요셉에게 저질렀던 불의를 기억해요. 지난 날에 동생에게 자신들이 한 일이 하나님의 법에 따라 자기들에게 닥친 거라고 생각해요. 이러한 생각은 행위화복이라고 말해요. 그 당시에는 "뿌린대로 거둔다"는 법칙이 지배하고 있던 시기였어요. 이는 욥기에 이르러 극복되게 되고요.
창 43:11 | 꿀은 포도즙을 가리키는 것처럼 보이고 유향나무 열매는 피스타치오 열매를 의미해요. 유향, 향품, 몰약은 특정한 관목들의 진에서 나온 향료들인데, 애굽에서 화장할 때 미라를 만드는 데에 사용했어요.
창 44:5 | 마시는 잔으로 점을 치는 건 애굽의 전통적인 풍습이었어요.
창 45:5 | 요셉은 형들이 판 자가 나라고 말하면서 자신이 요셉이라는 증거를 대요. 그러나 요셉은 이 모든 일의 배후에 하나님께서 계셨다고 말하면서 형들을 배려하고 있어요. 인간의 온갖 실책과 범죄를 넘어서서 하나님은 아브라함 언약을 지닌 가족의 생명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목표를 추구하세요.
창 46:5-7 |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 네 자손이 하늘의 별들과 같이 되리라는 약속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어요.
창 46:34 | 야곱의 후손들은 여전히 다른 민족들과 동화되어 살지는 않았어요. 여전히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 사는 곳의 경계를 분명하게 구분했어요.
창 48:3-7 | 야곱은 요셉을 특별하게 대우해요. 그래서 다른 자식들은 하나의 지파만을 이루지만 요셉만은 두 지파를 이뤄요.
창 48:13-16 | 에서와 야곱을 축복했던 사건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지만, 야곱은 작은 손자에게 더 큰 복을 빌어줘요. |